분류 전체보기 236

VRF 냉매 유량가변형

냉매 유량가변형 VRF (Variable Refrigerant Flow) 시스템 1969년 일본에서 최초 소개 1980년 후반부터 보급 확대 2000년대 대용량 모듈 기술 개발 VRF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인버터 압축기와 제어 기술을 통해 냉매 유량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이를 시스템에어컨 혹은 멀티에어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멀티에어컨은 실내 부하에 따라 냉매량을 개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개별공조 시스템으로 하나의 실외기에 여러타입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실내의 사용 특성에 따라 실내기를 개별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멀티에어컨은 하나의 실외기에 최대 56대까지 연결할 수 있다. 제어 방법 인버터 MPS(Multi Power System) 기술 1) High Efficiency..

가스 히트펌프 GHP

가스 히트펌프 GHP (Gas engine-driven Heat pump) 가스 히트펌프는 가스(LNG, LPG)를 연료로 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가스엔진과 배열회수 열교환장치를 제외하면 전기식 히트펌프(EHP)와 거의 동일한 시스템이다. GHP는 가스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압축 압축기에 의해 냉매를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냉매관으로 흐르게 하여 액화와 기화를 반복시켜 여름에는 냉방기로, 겨울에는 난방기로 이용한다. 냉매는 R-22 , R-407C(신냉매)를 사용한다. 냉방운전일 경우 팽창변을 지나 낮아진 냉매가 증발기(실내기)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반대로 난방일 경우에는 압축기에서 토출한 냉매를 응축기(실내기)를 통해 실내 공기를 가열한다. 가스히트펌프(GHP)의 ..

흡수식 냉온수기 개념

-- 1. 흡수식 설비 흡수식 설비에는 흡수식 냉동기, 흡수식 냉온수기, 흡수식 히트펌프로 나눌 수 있다. 흡수식 냉동기(Absorption chiller) : 냉방 및 냉동이 목적인 흡수식 설비흡수식 냉온수기(Absorption chiller-heater) : 냉방과 난방을 한 설비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난방 할때는 일반 보일러와 구동방식이 거의 비슷함. 흡수식 히트펌프(Abssorption heat pump) : 난방을 주 목적으로 하는 흡수식 설비. 기본 구성은 흡수식 냉동기와 동일하지만, 작동 온도와 냉각수 연결하는 것이 다르다. 2. 흡수식 관련 용어 물(H2O)이 냉매이고 리튬브로마이드(LiBr)가 흡수용액인 흡수식 냉동기를 사례로 물(H2O)이 냉매이고 리튬브로마이드(LiBr)가 흡..

플레쉬 가스 Flash gas

플래쉬 가스 Flash gas 증발기가 아닌 곳에서 증발한 냉매 가스를 플래쉬 가스라고한다. (참고. 플래쉬 가스와 불응축 가스를 혼동할 수 있다. 불응축 가스는 냉매가 아닌 공기, 질소 등 불순물 가스이다) 주로 팽창기구에서 팽창 시 압력강하에 의해 발생한다. 플래쉬 가스비(Rfg)가 1보다 작은 경우에는 팽창 밸브 입구 냉매는 과냉각된 조건,1인 경우에는 포화액상1보다 큰 경우네는 이상상태, 즉 플래쉬가스가 발생한 상태 여기서, q_heater는 실험장비 내에서 인의적으로 플레쉬 가스를 형성하기 위해 응축기 후단과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된 전기히터의 열량이다. 플래쉬 가스의 영향 팽창밸브 입구에서 플래쉬가스 발생을 하면 1. 팽창밸브를 통과하는 냉매유량 감소 2. 냉방 능력 감소 3. 압축기 토출 및 ..

냉매 압축기 개론

압축기(Compressor) 1. 압축기 개요 유체를 이송하는 기기로 펌프, 송풍기, 압축기 등이 있다. 그 중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해서 압력을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펌프는 유체를 이송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압력(양정)이 압축기에 비해 높지 않다. 송풍기는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공기나 그 외의 기체를 승압 또는 송풍하는 기계 장치이다. 압축기 : 압력비가 2.0 이상, 압력상승이 100 kPa 이상송풍기 - 팬(fan) : 압력비가 1.1 미만, 압력상승이 약 10 kPa 이하송풍기 - 블로워(blower) : 압력비가 1.1 이상 2.0 미만, 압력상승이 약 10~100 kPa 1.1. 냉동장치 압축기 압축기는 냉동장치의 심장과 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압의 냉매가스를 압축하..

아보가드로 법칙 Avogadro's law

아보가드로 법칙 Avogadro's law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면 부피는 몰수에 비례한다. 아보가드로는 모든 기체는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면, 같은 부피 안에는 같은 수의 분자가 존재한다고 밝혔는데, 이 것을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다시말하면, 표준상태(20°C 1기압)에서 기체 1몰(6.02x1023)개의 분자가 차지하는 부피비는 기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22.4L로 일정하다는 것이다. 표준상태에서 기체 1몰의 부피 22.4L를 기체의 몰부피라 한다. 각 원소에 g을 붙인 값에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는 모두 같은데, 이 수를 N이라 표시하면, *원자량에 g을 붙인 값= N x 원자 1개의 질량이 된다. 그런데, 탄소 원자 1개의 질량은 1.993 x 10^(-23) g이므로, N은, 여기서 구한 값..

커뮤니티 맵핑 Community mapping

커뮤니티 맵핑 Community Mapping 온라인 지도 위에 우리들이 정보들을 이용해 새롭게 만든 온라인 지도를 말한다. 커뮤니티 맵핑 말 그대로 말 그대로 구글이 제공하는 지도에 그 지역사회의 여러 요소들을 표시함으로써 하나의 지도를 그려가는 일이다. 이 지도를 만드는 사람들은 지역사회의 '보통 사람들'이다. 동네 사람들은 직접 맵핑을 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지식과 애정을 쌓고, 지도는 더 정확해지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 커뮤니티 맵핑 기술은 임완수 박사님께서 희망제작소를 통해 소개를 되었다. 희망제작소에서 커뮤니티 맵핑 세미나가 진행이 되었고 자료가 공개되어 있다. ( '세상을 바꾸는 지도' 워크숍 자료 보러 가기 ) 임 박사님은 IMrivers.com이라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마그누스 효과 Magnus effect

마그누스 효과 Magnus effect 축구선수가 프리킥으로 찬 공은 초기에는 30 m/s로 직진상태로 날아간다. 이때는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간인 난류(turbulence) 상태이다. 난류상태에서는 관성에 의한 힘과 점성에 의한 힘의 비인 레이놀즈수가 크다. (레이놀즈 수 설명보기)공 주의 공기 흐름은 난류 상태가 되고, 공 표면의 공기는 오랫동안 달라 붙게 되어 공의 전후 압력차는 작아지고, 항력(drag force)도 작아져 선수가 찬 공은 수비벽까지 난류 상태로 빠르게 날아간다. 그 후 약 10m 지점(수비벽 거리는 9.15 m)부터 점점 속도가 느려지면서 층류(laminar) 상태로 들어서게 된다. 이때 공의 뒤쪽으로 흐르는 공기가 떨어져 나가는 박리(separation)현상이 일어나게 되..

Desuperheater 디슈퍼히터

Desuperheater 디슈퍼히터 우선, 디슈퍼히팅(Desuperheating)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디슈퍼히팅(Desuperheating)이란, 고압 또는 과열 증기를 원하는 과열도까지 온도를 낮추어 포화증기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감온이라고 번역되기 한다. 다시말하면, 과열(superheating)을 거꾸로 한다(de-superheating)는 것. 그럼 디슈퍼히터(Desuperheater)란 무엇인가 Desuperheater는 과열증기 또는 고압/고온의 Steam을 포화증기 또는 저압, 저온의 Steam으로 만들기 위해 증기의 흐름 속에 물을 분사하는 장치를 말한다. 과열저감기, attemperator 라고도 한다. 그럼 왜 쓰는거지? 사용 목적 디슈퍼히터를 사용하여 과열증기의 과열도를 낮추어 포..

HVAC 2013.10.17

Micro Generation 마이크로제너레이션

Micro Generation 마이크로 제너레이션 Micro Generation(MG)는 기존의 중앙집중형 대용량 설비의 대체 개념으로 다수의 소용량 설비를 연결하여 기존의 냉난방 부하 및 전력 부하를 공급하는 소형 설비 네트워킹 기술이다. 열 용량은 50 kWth 이하, 발전량은 30kWe 이하의 설비들로 구성하여 커뮤니티 단위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쉽게 말하면, 우리동네 아파트 단지에 필요한 열과 전력량을 열과 전기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설비(연료전지, 태양광, 태양집열판, 히트펌프)로 충당한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제너레이션 개념은 열네트워크(열 분야)와 스마트그리드(전력분야, IT 분야)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장점 마이크로제너레이션은 기본적으로 분산발전과 스마트한 에너지관리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