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s Background

등온과정, 단열 과정 isothermal process, adiabatic process

행복지구 2017. 3. 31. 19:35

 

 

 

 

등온과정, 단열 과정 isothermal process, adiabatic process

1

 

2

 

 

등온과정 (isothermal process)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과정이다. 

과정이 아주 천천히 진행되어, 과정 중 어느 시각에 보더라도 시스템의 상태가 해당 시각에 따른 평형상태라고 할 수 있는 준평형상태(quasi-steady state)이다.

과정의 시간이 충분하여 주변환경의 온도와 시스템의 온도가 같아지는 온도평형이 이뤄난다. 즉, 시스템과 주변환경이 열교환을 하는 과정이다. 

 

유도과정 더보기

이상기체일 경우 아래와 같다. 

PV1=nRT1

PV2=nRT2

 

등온과정이므로 

ΔT=0

 

즉, 

ΔT=(T2T1)=P(V2V1)/(nR)

PV1=PV2

 

PV1=PV2

 

단열과정 adiabatic process )

주변환경과 온도평형이 이뤄질 정도로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주변환경과 열교환이 없는 과정이다. 

 

유도과정 더보기

q=0

ΔU=w

dU=ncvdT=PextdV

여기서 Reversible process라면, P_ext = P으로 

PexpdV=PdV=nRTVdV

다시 정리하면,

cvTdT=RVdV

이것을 점 1에서 점 2까지 적분하면,

cvT1T21TdT=RV1V21VdV

cvln(T2T1)=Rln(V2V1)=Rln(V1V2)

(T2T1)cv=(V1V2)R=(V1V2)cpcv

(T2T1)=(V1V2)cpcv1

여기서, 비열비를 아래와 같이 정의내리면, 

λcpcv

T1V1λ1=T2V2λ1

PV1λ=PV2λ

 

PV1λ=PV2λ

 

위 압력-부피(P-V)그래프에서 아래 적분한 면적은 일(work)이므로,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지 않는 단열과정(adiabatic process)의 일이  

온도가 일정한 등온과정(isothermal prcoess)의 일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위 오른쪽 그림의 A점에서 B점으로, 

이상기체가 압력은 낮아지고 부피는 늘어나는 팽창을 할 때, 

단열과정(Adiabatic)은 외부와 열교환이 없는 반면에 

등온과정(isothermal)은 과정 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열을 얻어오기 때문에 더 많은 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__

2017. 03. 31 작성

2021. 10. 02 수정

 

  1. http://www.aplusphysics.com/courses/honors/thermo/thermodynamics.html [본문으로]
  2. http://www.kshitij-iitjee.com/adiabatic-process-for-an-ideal-gas [본문으로]

 

---